wnsgml.com (108) 썸네일형 리스트형 승자독식사회 로버트 프랭크, 웅진지식하우스 2008 며칠 전에 이 책을 읽고 있다는 포스팅을 했는데, 꽤 빠른 시간에 평을 쓰게 되었다. 실은 중간에 제목만 읽었어도 충분한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던 적도 제법 있었지만, 읽어나가던 와중에 리뷰를 쓸 것을 염두에 두면서 읽어나가니 몇자 적고 싶은 것이 생각났다. 원저 The winner-take-all society 는 1995년에 나온 책이다. 그러다 보니 아무래도 예로 든 것들이 현시성이 심각하게 떨어지는 수준이다. 스포츠 스타들로 패트릭 유잉, 앙드레 아가시 같은 선수들이 나오는 정도고 Microsoft와 인텔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시장독식을 말하면서 MS-DOS를 예로 들고 있는 부분에선 심히 한숨이 나왔다. 그럼에도, 2008년의 우리나라나, 미국이나 그 승자.. 세계화와 그 불만 - 스티글리츠 지음, 송철복 옮김 세계화와 그 불만 얼마 전 '88만원 세대'의 리뷰를 실수로 동생 아이디로 포스팅을 해버려서 잔소리를 좀 들었다. 알라딘의 블로그 원격 글쓰기 기능을 통해서 포스팅을 했더니 미리 설정된 동생 아이디로 글이 저장된거 같다. 그래서 이번에는 제대로 내 아이디를 확인하고 포스팅. 스티글리츠는 내가 신입생 시절에 경제학 수업의 교재로 샀던 책의 저자이다. 교수님(인지 강사인지 알 수도 없던 시절)이 교재로 맨큐와 스티글리츠를 소개했는데 대부분 맨큐의 책만 사거나, 얻어서 보거나 하던 때에 뭣 모르고 혼자 그 비싼책을 2권 모두 덜컥 사버렸던 기억이 있기 때문에 잊을 수 없다. 이 책은 2002년에 씌여졌고 우리나라에도 바로 그 해 번역본이 나왔다. 아마도 스티글리츠가 2001년 노벨상을 수상했기 때문에 그에 걸.. 쓰는 것에 대한 일종의 공포상태다. 요즘 쓰고 싶은 것은 시사성 있는 글인데, 쓰려고 여기저기 둘러보다보면 어김없이 내가 쓰려고 한 글이 보인다. 아마 내가 쓰더라도 그것보다 잘 쓰진 못할테다. 내 글을 읽는 사람이 꼭 그 글을 볼 것 같아서가 아니라 내키지 않는 탓이다. 최근 글들이 칼럼퍼오기 및 동영상 긁어오기로 일관한 것도 그와 무관하지 않다. (88만원 세대 리뷰는 형이 쓴 것인데 내 이름으로 올라와있는 것을 리플때문에 지우지 못하고 남겨뒀다.) 내가 겪는 이 현상은 아마 이 책에서 다루는 주제와 관련 있을 것 같다. 엊그제 온 책이라서 읽는 중이지만, 앞부분 몇 장으로도 대강 내용을 알 것 같다. 경쟁이 월드와이드해지면, 세계 최고인 몇몇만이 그 시장을 독점하게 된다는 것이다. 독점이 아니라 '독식' 수준.. 88만원세대 - 우석훈, 박권일 88만원 세대 별점 2개. 넌 뭔데 프랑스 파리에서 경제학을 공부한 사람이 쓴 글을 혹평하느냐고 말할 사람도 있겠지만, 내가 봤을땐 딱 저 정도다. 속빈 강정이라고나 할까 제목은 그럴 듯 했으나 내용이 부실했다. 저자가 경제학자가 아니라 정치가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우선 서문에서 밝힌 88만원세대라는 이름을 붙인 과정부터 억지스럽다. 전체 비정규직의 평균임금 119만원에 전체임금과 20대의 임금 비율인 74%를 곱한게 88만원이란다. 비정규직도 나이에 따라서 임금이 올라가던가? 세대를 어떤 기준으로 나누느냐도 모호한데, 거기다 모든 세대는 이름이 있어야한다는 강박관념을 드러내면서 억지로 붙여놓으니 도무지 공감이 가지 않는다. 그 뒤로도 논리나 근거는 찾아보기 힘들고 단순히 자신의 경험에서 얻.. 턱걸이 웨이트 트레이닝 중에 내가 가장 하기 좋아하는 운동은 턱걸이다. 작년 10월부터 시작했던가. 처음에는 세개도 못하고 끙끙거렸는데 턱걸이 역시 '신경적응기간'이란 걸 거치고 나서인가 갯수가 매주 1개씩 늘더니 이제 한번에 10개까지 할 수 있는 수준이다. (10개 하게된지는 몇달 되었는데 진척이 없다) 20개정도 할 수 있다면 우리나라에서 1%안에 들거라던데 도전해 볼만 하다. 턱걸이는 등근육발달에 도움이 되는 운동이다. 역삼각형 체형에 꼭 필요한 운동이라는데 근육발달의 효과는 아직 모르겠지만 할 수 있는 개수가 하나 늘때마다 그 무한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다른 운동은 횟수를 세는 것보단 자세나 세트반복을 신경쓰는데 턱걸이는 원체 할 수 있는 횟수가 적어서 그런 것 같다. 턱걸이하는 모습을 찍어서 올.. 라면값 걱정하는 부자들 새 정부는 출범 전부터 까이기 시작했다. 요즘 주간지나 신문을 보면 장관들 문제로 말잔치를 벌이는 데, 언론의 자유가 살아있다는 것을 즐거워 해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이 정부가 노골적으로 썩었음을 개탄해야 하는 것인가 혼란스럽지만 경제만 살리면 되니까 걱정할 것이 안된다. 하지만 문제는 경제를 살리겠다는 이명박 정부가 경제 성장률 7%는 꿈이다, 6%도 어렵다, 5%도 쉽지않다고 했다는 것이다. (참고로 잃어버린 10년간 우리나라는 4~5% 성장률을 이어왔다.) 성장이 안된다면 분배라도 잘 해야 할 것인데, 새 내각의 장관들을 보면 물음표를 붙일 수 밖에 없다. 저런 사람들이 서민경제를 위해 뭘 할 수 있을까? 다음은 아래 칼럼을 읽기 전에 알아야 할 망언들. 박은경 전 환경부 장관 후보자 "친척이 김포.. 도서관에 전문 사서가 없다 우석훈...선생님(이라고 하는게 맞으려나)이 쓴 칼럼이다. 주간지에 이런 글이 실릴 정도라면 이제 문헌정보학과가 각광받게 될 날을 기대해도 되지 않으려나 싶기도 하다. 강의실에서야 많이 들었던 이야기지만 비전공자들은 사실 이런 이야기들 모르지 싶다. 주석은 내가 쓴 것이다. 함부로 옮겨온 데다 주석까지 달다니 무례하다. 시사인(08. 02. 26) 도서관에 전문 사서가 없다 얼마 전부터 신문 안 본다는 게 자랑이 된 사람이 많다. 신문사도 좀 반성해야 할 것 같다. 신문이 신문다워야 볼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서 좀 생각해보면 좋겠다. 어쨌든 사람들이 신문도 안 본다는 것은 사회의 위기이다. 그렇다면 잡지나 계간지는 보고, 책은 좀 읽는가? 다른 것도 별로 안 보는 게 우리나라 실정인 것 같다. 유럽에서 부..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신문이었던가 주간지였던가에서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이라는 책 소개를 봤다.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것이 싫어서, 내가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남들이 말하는 것이 싫은 것도 내가 책을 읽는 중요한 이유 중에 하나다. 물론 상대방이 그 책을 읽지 않았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우엔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기도 하지만, 그러면서도 어느 구석에서는 껄끄러운 마음이 남아있는 것을 경험한다. 영화, TV드라마에 대해선 "나 그거 안봤는데"라고 아무렇지도 않게 말하면서 (심지어 태극기 휘날리며, D-워, 실미도, 살인의 추억 같은 '국민영화'들에 대해서도!!) 모르는 책, 제목만 들어본 책 이야기가 나올땐 한없이 작아지는 이유는 뭘까. 이 책도 뭐, 예고편이 다인 한국영화처럼 서평이 다인 책이겠지만 제.. 이전 1 ··· 5 6 7 8 9 10 11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