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비판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진보비판 note #1 난 사상적으론 양비론적이고 실제적 성격은 양시론적이지만 양면 모두 교수에게나 한국사회에서 환영받는 방식은 아닌 것 같다. 다들 분명한 자기 입장이 있어야 한다고들 하고 애매한 입장은 기회주의정도로 배격하려고 한다. 긍정할 점은 서로 긍정할 수 있었으면 좋겠는데- 그런 입장은 기회주의로 배격당한다. J.M.케인즈도 '나는 입장을 바꾼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을 뿐'이라고 말한 바 있는데 말이다. 아무튼 연재물이 될 각오를 하고 일단 써본다. ㅡㅡㅡㅡㅡ 우리 사회에서 진보비판=수구라거나 보수비판=진보라는 공식이 성립하고 있지만 양극화논리에 농락당하는건 지겹다. 그럼에도 아직 우리 사회의 지배적 논리는 보수/진보구도인데 대개 보수/진보를 말하는 사람들에게 기준은 특별히 없고, 여러 쟁점에서 나와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