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fing
주간지 읽기
wnsgml
2008. 1. 26. 12:50
1월3일에 주간지를 두개 사읽었다. '한겨레21'과 '시사IN'인데, 좀 치우쳤다고 생각했지만 건전하다고 생각할만한 주간지는 이 외에 잘 모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 주간지는 보통 삼천원. 시사적인 마인드를 좀 길러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으나 블로그들을 뒤적거리다 보면 볼것보다 안볼것을 많이 보게되어서 시간도 날아가고 그다지 남는 것도 없어서 역시 돈주고 사봐야겠단 생각을 했다. 개인비서가 있다면 인터넷에서도 볼만한 것들 추려주겠지만 그럴 수 없다면. 주간지는 일주일에 한번 나온단 점에서 신문보단 현시성이 떨어지지만 신문은 한번 보려면 두시간은 족히 걸리기 때문에 매일 볼 수가 없다. 일주일 정도면 그래도 괜찮은 편 아닌가? 휴가복귀하는 이다운 http://ddawoori.com 에게 시사IN을 사오래서 이번주 것도 구했다. 우석훈 교수의 칼럼이 실려있다. 밑줄은 나의 것. |
‘명박스’의 ‘그렘린식’ 개발 증후군 | ||
이명박 당선자 측은 한반도 대운하를 비판하면 ‘반대를 위한 반대’라고 반박한다. 하지만 ‘개발을 위한 개발’을 추진하는 그들에게 논리나 상식이 먹힐 틈은 애초부터 없어 보인다. | ||
|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는 영화로 치면 꽤 재미있는 캐릭터이다. 악인이 승리하는 영화에는 어디에나 응용 가능한데, 내가 찾아낸 가장 흥미로운 응용편은 물에 닿으면 꽤 짓궂은 분신들이 몸에서 튀어나와 금방 세상을 덮어버리는 <그렘린>이다. ‘기즈모’라 불리는 고대로부터 내려온 중국의 장난꾸러기 생명체가 그렘린으로 불어나면, 세상살이가 약간 피곤해진다.
이 당선자의 분신들-‘명박스’라고 부르도록 하자-도 대선 후 한 달 만에 엄청 늘어났다. <그렘린 2>에서, 잠자던 기즈모를 세상에 끌어낸 것은 뉴욕의 뉴타운 개발에 따른 중국인 고물상 불법 철거 사건이었다. 우리도 그렇다. 서울시의 뉴타운 개발 이후, 잠자던 명박스가 분열을 시작했다. 영화에서 그렘린의 분열은 가수반응처럼 물에 닿으면 생기는데, 현실의 명박스도 물을 좋아한다. 좋아해도 너무 좋아한다. 그래서 문제다.
대운하 이야기를 해보자. 서울과 부산 사이의 물류를 꼭 ‘물’로 보내고 싶다면, 그냥 인천항에서 부산항, 그렇게 보내면 된다. 그게 임진왜란 때 혹시라도 왜군의 매복이 있을까봐 떨면서 넘었다는 조령에 터널을 뚫고 통과하는 것보다는 빠르다는 게 상식이다. 육지로 바로 가면 시간이 덜 걸릴까? 거칠 것이 없는 바다 편이 빠르다. 그랬더니, 세상에 아직 존재하지도 않는 새로운 기술로 ‘기똥찬’ 배를 띄운단다. 아니, 그렇다면 그 배를 바다로 보내면 되잖아! 우리는 삼면이 바다인 나라다.
‘명박스의 심통’은 경제학으로 해석 불가능
![]() |
||
1984년 제작된 영화 <그렘린> 포스터. | ||
나는 ‘도어 투 도어(door to door)’(한 화주의 화물을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 수송해주는 제도) 운송 방식이 21세기 물류가 될 것이라는 말은 들어봤어도, 50시간 가깝게 배 타고 유람하듯이 살살 가도 경쟁력이 생긴다는 생떼는 일찍이 들어본 적이 없다. 그래서 뭐라고 좀 했더니, ‘반대를 위한 반대’라고 한다. 그렘린에 대처하는 인간의 지혜로 생각해보자. 이건 ‘개발을 위한 개발’이라고 하는 게 맞지 않나? 그냥 콘크리트로 강바닥을 바르고, 터미널도 만들고 싶고, 그렇게 건설사에 건설 물동량을 주고 싶다는 게 솔직한 마음 아닌가? 차라리, 4박5일짜리 ‘크루즈’ 물놀이를 하고 싶었던 게 원래 발상이라고 말하고, 순수 관광 목적의 ‘개발을 위한 개발’ 사업이었다고 실토하면 인간답기라도 하다. 하지만 ‘그렘린 같은 명박스’에게 어찌 인간의 지혜를 구하랴!
어차피 노무현 정부가 삽질하느라 새로 손본 광양항, 평택항 요즘 다 텅텅 빈다. 배가 그렇게 좋으면 배는 노는 항구로 보내고, 내륙 물류는 철도 복선화해서 항구로 보내면 5시간 안에 간다. 그러면 건설업자는? 강변 지역을 자연형 하천으로 생태 복원하고, 당신들이 강조하는 토사를 판 돈으로 읍면 지역에 7층짜리 멋진 도서관 하나씩 지어주시고, 거기다 3층짜리 근사한 복합 문화보전센터 하나씩 올려주시라. 물류와 문화, 그리고 생태까지 다 해결하는 이런 방법이 있는데, 명박스식 ‘개발을 위한 개발’, 그렇게 하면 지방 토호와 부재 지주만 떼돈 번다. 이제 그만 좀 하자.
※ 외부 필자의 기고는 <시사IN>의 편집 방침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