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게
나를 기다려 준 소설
wnsgml
2007. 10. 29. 19:15
어느날 <좋은생각>에서 글을 읽었다. 어느 날이라고 하지만 그날은 워낙 할일이 없어서 책꽂이에 있던 좋은생각 하나씩 보고 있었다. 한권당 30분? 그저 하나씩 훑을 땐 모르는 데 연속해서 여러권 보다보면 소설가분들이 수필기고를 대단히 많이 하신다는 것. 대부분 자기 만족성 글... 작가들은 직업 만족도가 대단히 높다.
이게 바로 문제의 글.
이해경 님이 쓴 <나를 기다려 준 소설>이란 글이다.
내가 생각했던 소재들 여러 개를 다 써서 쓴 글이라 처음 봤을 때 어떤 찌릿함을 느꼈다. 굵은 글자로 쓴 부분. 내가 잘난 척 하려고 하면서 여러 번 말했거나, 어떤 글의 소재로 썼거나, 그 당시 머릿속을 맴돌던 것들이라니 믿어질까.
특히 '다 소설을 쓰기 위한 준비의 세월' 부분을 보고는 표현을 도둑맞은 느낌마저 들었으니. 저 사람은 어떻게 나랑 똑같은 생각들을 모아서 글로 엮었을까 하는 생각마저 들게 한 인상적인 수필. 곱게 찢어서 다이어리에 끼워놨다.
이게 바로 문제의 글.
이해경 님이 쓴 <나를 기다려 준 소설>이란 글이다.
열다섯 살 때 소설가가 되기로 결심한 뒤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나는 소설가가 되기 위한 어떤 노력도 하지 않았다. 소설을 즐겨 읽기는 했지만 그 시절엔 누구나 그랬다. 노력이 따르지 않는 의지란 얼마나 우스꽝스러운가. 우스운 건 좋은데 문제는 그것이 가짜라는 데 있다. 나에게 진짜 소설을 쓰겠다는 의지가 있었다면 국문과에 가겠다고 고집을 부리지는 않았을 것이다. 노력하지 않는 자는 무지할 수밖에 없다.글의 구성은 뭐 직업이 직업이니만큼 더 할 말이 없겠고.
나의 대학 시절은 자기 인생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 한심한 청춘들의 황금기였다. 조국의 암울한 현실을 핑계삼아 나는 소설가가 되겠다는 의지마저 슬며시 내려놓고 이십대의 팔 할을 빈둥거렸다. 문제는 소설뿐아니라 다른 어떤 일도 할 준비가 안 된채 사회로 나왔다는 것이다. 그 덕에 나는 졸업 직후부터 마흔 살 직전까지 지겨운 줄 모르고 살 수 있었다. 학교 교사, 백수, 영화전공 대학원생, 학원강사, 웹진 운영자, 온라인회사 임원.
은근히 다채로운 경력을 자랑하고 싶은 것으로 오해하지 말기를. 별로 다채로울 것도 없는 그 이력은 감추고 싶은 나의 치부이다. 그중 한가지라도, 탁월하게는커녕 근근이라도 해나갈 수 있었다면 나는 지금 이 글을 쓰고 있지 않을 것이다. 소설가가 되어 원고를 청탁받는 일은 없었을 테니까. 하는 일마다 나는 실패했고, 백수로 살기에도 나는 무능했다. 준비하는 노력 없이 해낼 수 있는 일은 없다. 세상은 정확하다.
서른아홉 살에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하나도 없음을 알았다. 하지만 곧 그것이 잘못 안 것임도 깨달았다. 이십 년 넘게 시작도 안하고 팽개쳐 둔 소설이 곁에 남아 있었다. 문제는 소설을 연습할 시간까지는 남아 있어 주지 않았다는 것이다. 내게는 연습이 곧 실전이었다. 결국 나는 '준비 안 된' 소설가가 되었고, 지금도 그 값을 톡톡히 치르느라 낑낑대며 살고 있다.
그러나 얼마나 다행인지. 세상에는 세 종류의 일이 있다. 하고 싶은 일, 할 수 있는 일, 해야 하는 일. 그중 한가지라도 하며 사는 인생은 불행하지 않다. 하물며 지금 나에게 소설은 그 세 가지 다인데 어찌 행복하지 않을 수 있으랴. 왜 소설을 쓰냐고 묻는다면 그 대답만큼은 나도 준비되어 있다. '폐인이 되지 않기 위해.' 돌아보면 딴 짓 하며 돌아다닌 지난날이 다 소설을 쓰기 위한 준비의 세월이었다. 아니라면 나는 미안해서 견딜 수가 없다. 나를 버리지 않고 기다려 준 '나의 일'에게.
내가 생각했던 소재들 여러 개를 다 써서 쓴 글이라 처음 봤을 때 어떤 찌릿함을 느꼈다. 굵은 글자로 쓴 부분. 내가 잘난 척 하려고 하면서 여러 번 말했거나, 어떤 글의 소재로 썼거나, 그 당시 머릿속을 맴돌던 것들이라니 믿어질까.
특히 '다 소설을 쓰기 위한 준비의 세월' 부분을 보고는 표현을 도둑맞은 느낌마저 들었으니. 저 사람은 어떻게 나랑 똑같은 생각들을 모아서 글로 엮었을까 하는 생각마저 들게 한 인상적인 수필. 곱게 찢어서 다이어리에 끼워놨다.